자료명 
서력 한국학자료 보기 한국사 주요사건 한국사 주요인물 보기
6
신라 남해차차웅 3
• 남해차차웅이 시조묘를 세움
• 신라, 시조묘(始祖廟)를 세움.
• 낙랑, 거섭원년명내정화문거치경(居攝元年銘內政花文鉅齒鏡) 제작.
• 한(漢) 왕망(王莽), 전화(錢貨)를 주조.
• 신라, 일식.
• 백제, 웅천책(熊川柵)을 세움.
9
신라 남해차차웅 6
• 마한멸망
• 백제, 마한의 원산성(圓山城)·금현성(錦峴城)이 항복. 마한 멸망.
• 백제, 대두산성(大豆山城) 쌓음.
• 낙랑, 시건국원년명협저칠반(始建國元年銘夾紵漆盤) 제작.
• 부여 대소왕(帶素王), 고구려에 항복을 권고.
• 고구려, 태자를 위하여 묘(廟)를 세움.
65
신라 탈해이사금 9
• 탈해이사금이 갓난아이(김알지)가 들어 있는 금궤를 찾음
• 《마가복음》 성립.
• 후한(後漢), 채음(蔡#ltFONT FACE=KSX Hanja2#gt駙#lt/FONT#gt) 등이 서역에 가서 불전을 가지고 돌아옴. 중국에 불교전파 시작됨.
• 신라, 국호를 계림(鷄林)으로 고침.
• 신라, 금성(金城) 시림(始林)의 금궤에서 김알지(金閼智) 탄생하였다 함.
• 김알지(金閼智) / 65~
655
신라 무열왕 2
• 김흠운이 낭당대감(郞幢大監)이 되어 양산에서 백제군과 싸우다 전사함
• 신라, 금강(金剛)을 상대등(上大等), 문충(文忠)을 중시(中侍)로 삼음. 고구려, 백제·말갈과 함께 신라의 33성 공취. 신라, 당나라에 구원 요청.
• 신라, 백제의 조비성(助比城) 공격, 김흠운(金欽運) 전사(?~).
• 설총(薛聰) / 655~ / 총지(聰智)
• 지통(智通) / 655~
661
신라 문무왕 1
• 나당연합군이 고구려 공격
• 신라 승려 원효(元曉), 분황사(芬皇寺)에서 법성종(法性宗)을 폄. 승려 의상(義湘), 당나라에 유학. 중원경(中原京) 설치, 축성. 무열왕릉비 건립. 대궁사(大宮寺) 창건. 경주남산석불상 ·화엄사화엄석경 만듦.
• 신라왕, 웅현정(熊峴停)에 진둔.
• 백제 복신(福信)·도침(道琛)·흑치상지(黑齒常之) 등, 일본에 체류중인 왕자 부여풍(扶餘豊)을 영입하기로 하고 주류성(周留城)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.
• 백제부흥군, 복신(福信)이 도침(道琛)을 죽임. 복신의 백제부흥군, 임존성(任存城)으로 옮김.
• 고구려, 신라의 술천성(述川城)·북한산성(北漢山城) 공격. 신라, 압독주(狎督州)를 대야(大耶)로 옮김.
840
신라 문성왕 2
• 발해 中臺省에서 사신 파견을 알리는 내용으로 일본 太政官에게 牒을 보냄.
• 신라 장보고(張保皐), 일본에 사신 보냄.
• 신라, 김예징(金禮徵)을 상대등(上大等), 김의종(金義琮)을 시중(侍中)으로 삼음.
• 신라 승려 체징(體澄), 당나라에서 돌아옴.
939
고려 태조 22
• 고려 都評省에서 洪俊和尙의 衆徒에게 寺院新築과 관련한 太祖의 敎旨를 전하는 帖文을 내려보냄.
• 지평(砥平) 미지산(彌知山) 보리사대경대사현기탑비(菩提寺大鏡大師玄機塔碑) 건립.
• 후진의 사신이 와서 왕에게 관작을 보내옴.
• 공직(#ltFONT FACE=KSX Hanja2#gt傾#lt/FONT#gt直) 죽음(?~).
• 일본, 평장문(平將門)의 반란.
• 풍기(豊基)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(毘盧寺眞空大師普法塔碑) 건립.
975
고려 광종 26
• 경종이 김부를 상보도성령에 임명함
• 탄문(坦文) 죽음(900~).
• 단속사진정대사탑비(斷俗寺眞定大師塔碑), 연풍(延豊) 각연사통일대사탑비(覺淵寺通一大師塔碑), 고달원원종대사혜진탑(高達院元宗大師慧眞塔) 건립. 개원8년명(開元八年銘)석제사리호 만듬.
• 광종 죽음(925~), 경종 즉위.
• 송(宋) 조빈(曹彬), 금릉(金陵)에서 이김. 강남(江南) 욱(煜) 항복 (강남 멸망).
• 정승(政丞) 김부(金傅, 경순왕)에게 상보(尙父) 도성령(都省令)의 관직과 식읍 1만호(戶)를 더 줌.
987
고려 성종 6
• 성종이 팔관회를 폐지함
• 각 촌(村)의 대감(大監)·제감(弟監)을 촌장(村長)·촌정(村正)으로 개정.
• 12목(牧)에 경학박사(經學博士)·의학박사(醫學博士) 1인씩을 둠.
• 노비환천법(奴婢還賤法) 제정.
• 최지몽(崔知夢) 죽음(907~).
• 노비방량법(奴婢放良法) 제정.
1031
고려 현종 22
• 고려초기 若木郡에 소재한 淨兜寺에 오층석탑을 造成함.
• 정도사(淨兜寺)5층석탑 건립. 정도사(淨兜寺)5층석탑 발견 형지기(形止記)·녹유사리병(綠釉舍利甁)·동합(銅盒) 만듦. 용주사동종(龍珠寺銅鐘) 주조. 국자감시(國子監試) 신설(시부 詩賦로 시험). 감시법(監試法) 시작. 북한산(北漢山) 신혈사(神穴寺) 건립. 봉은사(奉恩寺) 중수.
• 강감찬(姜邯贊) 죽음(948~).
• 현종 죽음(992~), 덕종 즉위.
• 일본, 평충상(平忠常)의 난 평정.
• 현종 때 산청(山淸) 지곡사혜월비(智谷寺慧月碑) 건립. 개성인(開城人)이 〈금강성곡 金剛城曲〉을 만듦.
• 김상기(金上琦) / 1031~
• 류창운(柳昶雲) / 1031~1104
1079
고려 문종 33
• 고려 禮賓省에서 風疾 치료에 뛰어난 醫人을 선발하여 보내달라는 취지로 일본 大宰府로 牒을 보냄.
• 예종(睿宗) / 1079~1122 / 세민(世民)
• 김부의(金富儀) / 1079~1136 / 자유(子由)
• 김영석(金永錫) / 1079~1167
1109
고려 예종 4
• 밀양 청도면 소태리에 소재한 사찰의 金堂과 石塔을 造成함.
• 오연총(吳延寵), 공험진(公#ltFONT FACE=KSX Hanja2#gt年#lt/FONT#gt鎭)에서 패전. 윤관(尹瓘)으로 하여금 다시 길주(吉州)를 구하게 함. 9성 철수문제 논의.
• 오연총(吳延寵), 길주(吉州)를 구함.
• 여진, 숭녕진(崇寧鎭)을 치고 또 길주성(吉州城) 포위.
• 개경(開京)에 전염병 유행. 구제도감(救濟都監) 설치.
• 인종(仁宗) / 1109~1146 / 인표(仁表)
• 이문탁(李文鐸) / 1109~1187 / 인성(仁聲)
• 장충의(張忠義) / 1109~1180
• 공예태후(恭睿太后) / 1109~1183
1167
고려 의종 21
• 주자가 남헌(南軒) 장식(張栻)을 방문함. 이때 주자는 남악묘감(南嶽廟監)이었음
• 이간(李侃) / 1167~1216 / 거화(去華)
1188
고려 명종 18
• 백암사 승려 사비를 중연의 법손으로 인정함.
• 명종, 외제석원(外帝釋院)에 행차. 중단되었던 정기적인 군대열병 다시 행함.
• 최자(崔滋) / 1188~1260 / 수덕(樹德),동산수(東山叟)
1205
고려 희종 1
• 중서문하성에서 장량수에게 병과급제 교첩을 발급함
• 최충헌(崔忠獻)을 진강군개국후(晋康郡開國侯)로 삼음.
• 최충헌(崔忠獻)에게 내장전(內莊田) 100결(結)을 내림.
• 천인(天因) / 1205~1248
1216
고려 고종 3
• 예부에서 혜심에게 대선사 임명 고신을 발급함
• 거란의 유적(遺賊)이 고려를 침략
• 삼군(三軍), 위주성(渭州城) 밖에서^패함.
• 몽고(蒙古)에 쫓긴 거란유민이 영삭진(寧朔鎭)·정융진(定戎鎭)에 침입, 재물 약탈.
• 요(遼) 야율유가(耶律留哥), 몽고(蒙古)에게 항복. 그 남은 무리, 징주(澄州)에서 대요수국(大遼收國)을 세움.
• 몽고(蒙古), 동궐(潼闕)에서 이김.
• 거란병에 의해 묘향산(妙香山) 보현사(普賢寺) 소실.
1237
고려 고종 24
• 李喬의 戶口가 작성됨.
• 강화(江華)에 외성(外城)을 축조. 전왕 희종 죽음(1181∼). 이규보(李奎報) 치사(致仕).
• 김경손(金慶孫), 초적(草賊) 이연년(李延年)의 난을 평정.
• 김해(金海) 감로사(甘露寺) 창건.
• 봄. 이연년(李延年)의 반란 일어남.
• 이규보(李奎報) 《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》·《백운집 白雲集》 지음.
• 설경성(薛景成) / 1237~1313
• 정인경(鄭仁卿) / 1237~1305
• 조인규(趙仁規) / 1237~1308 / 거진(去塵)
• 홍자번(洪子藩) / 1237~1306 / 운지(雲之)
1254
고려 고종 41
• 고려 조정에서 誅殺 혹은 流配당한 官員과 將軍들의 奴婢를 관과 개인들에게 나누어 소속시킴.
• 몽고(蒙古) 홀필렬(忽必烈), 요추(姚樞)를 기용.
• 최자(崔滋) 《보한집 補閑集》 이룩됨.
• 사신으로 몽고에 갔다가 변절한 반역자 이현(李峴) 처단. 몽고군, 충주(忠州) 공위(攻圍)에 실패하고 철수.
• 프란체스코파의 루브루크, 포교를 위하여 몽고의 헌종에게로 감.
• 몽고사신 50명이 옴. 몽고 차라대(車羅大)의 군(軍), 제5차 침입.
• 정해(鄭?) / 1254~1305 / 회지(晦之)
• 정방길(鄭方吉) / 1254~
1259
고려 고종 46
• 고려 禮賓省에서 몽고군에 붙잡혔다가 도망쳐온 중국인들을 송환한다는 내용으로 南宋 慶元府에 牒을 보냄.
• 성주 기알성의 야별초군과 주민들, 몽고군 대파. 별초군, 동진군(東眞軍) 격퇴. 최자(崔滋)·김보정(金寶鼎) 등, 출륙환도 주장.
• 몽고(蒙古) 장군 올량합대(兀良哈臺), 담주(潭州)를 포위.
• 몽고(蒙古) 홀필렬(忽必烈), 악주(鄂州)를 포위.
• 고종 죽음(1192~), 태손(太孫) 집정. 몽고, 강도(江都)의 내외성(內外城)을 헐어버림.
• 고종 때, 김극기의 시 〈농사집의 사계절〉, 진화(陳華)의 시 〈도원의 노래〉와 〈한림별곡〉 등 지어짐.
• 오잠(吳潛) / 1259~1336
• 배정지(裵廷芝) / 1259~1322 / 서한(瑞漢),금헌(琴軒)
• 제국대장공주(齊國大長公主) / 1259~1297
1260
고려 원종 1
• 상서도관에서 위사공신 첨서추밀원사 유경에게 노비 10구를 지급함
• 이인로(李仁老)의 《파한집 破閑集》 간행.
• 출배도감(出排都監), 왕실귀족과 관리들에게 가옥건축비로 6,420곡의 쌀을 나누어줌.
• 최자(崔滋) 죽음(1188~).
• 고종(高宗)의 어진을 천수사(天壽寺)에 옮겨 봉안.
• 원종, 강안전(康安殿)에서 즉위. 몽고가 사신을 보내어 고려를 정복하지 못한 것을 인정.
• 유자우(庾自?) / 1260~1313
1261
고려 원종 2
• 고려 開城府에서 戶口를 작성함.
• 왕전(王佺) 죽음(?~).
• 태자를 몽고에 보냄.
• 압록강 서쪽에 몽고와의 교역장 설치.
• 화청자 신유명당초문수주(辛酉銘唐草文水注) 만듦.
• 몽고(蒙古), 사천택(史天澤)을 상(相)으로 함.
• 김태현(金台鉉) / 1261~1330 / 불기(不器)
1267
고려 원종 8
• 고려국왕 元宗이 몽고의 요구로 몽고에 사신파견을 권유하는 내용의 國書를 일본국왕에게 보냄.
• 감수국사(監修國史) 이장용(李藏用) 등에게 신종·희종·강종 3대의 실록을 편수(編修)케 함.
1269
고려 원종 10
• 고려 충렬왕이 세자 당시 원나라에 가서 조회하였다.
• 고려 충렬왕이 세자 당시 원나라에 가서 조회하였다.
• 서북면의 최탄(崔坦)·한신(韓愼) 등, 임연(林衍) 제거 기도.
• 임연(林衍), 원종을 폐하고 안경공(安慶公) 왕온(王溫)을 세움.
• 원종 복위.
• 원종, 몽고에 감.
• 독일 리처드왕, 영국으로 돌아감.
• 민적(閔?) / 1269~1335 / 낙전(樂全)
• 이조년(李兆年) / 1269~1343 / 원로(元老),매운당(梅雲堂)
1270
고려 원종 11
• 李秀海의 戶口가 작성됨.
• 몽고(蒙古), 염희헌(廉希憲)을 파면.
• 원종, 몽고 세조(世祖)를 만남. 임연(林衍) 죽음(?~). 임유무(林惟茂), 교정별감(敎定別監)이 됨. 몽고, 서경에 동녕부(東寧府)를 세움.
• 임유무(林惟茂), 모반하여 처형됨(?~). 강화도에서 환도. 삼별초군 해산명령.
• 몽고, 허형(許衡)을 중서좌승(中書左丞)으로 함.
• 몽고군, 세자의 청에 의하여 임연(林衍) 서경(西京)에 와 머무름.
• 복구(復丘) / 1270~1355 / 무능수(無能叟)
1271
고려 원종 12
• 고려에서 일본에 牒狀을 보냄.
• 고려 충렬왕이 세자 당시 원나라에 가서 조회하였다.
• 몽고(蒙古) 가정제로(嘉定諸路)에 입구(入寇).
• 김방경(金方慶), 몽고군과 함께 진도를 함락. 승화후(承化侯) 왕온(王溫)을 죽임. 삼별초군, 탐라로 이동.
• 대부도인(大部島人)들 반란, 경기 8현을 관리들에게 녹과전으로 지급.
• 몽고, 국호를 원(元)이라 고침.
• 일본, 몽고사신 조양필(趙良弼)이 태재부(太宰府)에 내(來)함.
1279
고려 충렬왕 5
• 開城府에서 金鏡高의 戶口를 작성함.
• 도병마사(都兵馬使)를 도평의사사(都評議使司)로 고침.
1281
고려 충렬왕 7
• 순창성황대왕에게 금자광록대부삼한공신 장군의 작위를 올림.
• 원나라, 새로 만든 〈수시력 授時曆〉을 나누어줌.
• 인물추고도감(人物推考都監)을 회문사(會問司)로 고침.
• 김방경(金方慶), 일본정벌차 합포(合浦)로 감.
• 박항(朴恒) 죽음(1227~).
• 원나라 흔도(#ltFONT FACE=KSX Hanja2#gt誤#lt/FONT#gt都), 고려 김방경(金方慶)과 함께 제2차 일본정벌.
• 민상정(閔祥正) / 1281~1352
1290
고려 충렬왕 16
• 우탁에게 병과급제 홍패를 발급함
• 영국인, 유대인을 추방.
• 원나라 반란군 내안(乃顔)의 잔당 합단군(哈丹軍) 수만명, 화주(和州)를 침입. 쌍성(雙城) 함락. 충렬왕, 강화로 피난.
• 원충(元忠) / 1290~1337 / 정보(正甫)
• 조렴(趙廉) / 1290~1343 / 노직(魯直)
1291
고려 충렬왕 17
• 開城府에서 鄭仁卿의 戶口를 작성함.
• 고려 開城府에서 戶口를 작성함.
• 동경(東京)·심양(瀋陽)의 고려인을 조사 등록. 허공(許珙) 죽음(1232~).
• 합단군(哈丹軍), 원주에 침입. 원충갑(元#ltFONT FACE=KSX Hanja2#gt食#lt/FONT#gt甲) 등, 합단군(哈丹軍)을 격파.
1296
고려 충렬왕 22
• 政案이 작성됨.
• 순창성황신에게 존호를 더하여 올림.
• 홍자번(洪子藩), 〈편민사의18사 便民事宜十八事〉를 올림.
• 경사교수도감(經史敎授都監) 설치.
• 세자, 원나라의 보탑실련공주(寶塔實憐公主, 계국대장공주)와 혼인.
• 왕후(王煦) / 1296~1349
1305
고려 충렬왕 31
• 장계에게 동진사급제 홍패를 발급함
• 정인경(鄭仁卿) 죽음(1237~). 조인규(趙仁規) 방환.
• 왕유소(王惟紹)를 원나라에 보냄.
• 김훤(金暄) 죽음(1234~).
• 충렬왕, 원나라로 감.
• 충렬왕, 승려 소경(紹瓊)으로부터 보살계(菩薩戒)를 받음.
• 정운경(鄭云敬) / 1305~1366
• 완창대군(完昌大君) / 1305~
1306
고려 충렬왕 32
• 開城府 京戶口가 작성됨.
• 안향(安珦) 죽음(1243~).
• 한희유(韓希愈) 죽음(?~).
• 전왕비 홍씨(洪氏) 죽음. 홍자번(洪子藩), 원나라에서 죽음(1237~).
• 〈아미타여래도 阿彌陀如來圖〉 그림.
1314
고려 충숙왕 1
• 張戩의 조부 判典校寺事藝文館提學同知春秋館事 張備▣가 仁同縣 소재 田土를 토지대장에 올림.
• 양광충청주도(楊廣忠淸州道)를 양광도(楊廣道)로, 경상진합주도(慶尙晋陜州道)를 경상도(慶尙道)로, 교주도(交州道)를 회양도로 개편.
• 충선왕, 연경(燕京)에 만권당(萬卷堂)을 설치, 이제현(李齊賢)과 경사(經史)를 연구.
1330
고려 충숙왕 17
• 이자수에게 명서업급제 홍패를 발급함
• 거자(擧子)의 제도를 처음으로 실시. 김태현(金台鉉) 죽음(1260~) · 최성지(崔誠之) 죽음(1265~).
• 흥왕사(興王寺) 중창(重創).
• 정승을 중찬(中贊), 평리(評理)를 참리(參理)로 고침. 고시관을 또 다시 지공거(知貢擧)로 고침.
• 충혜왕 즉위. 원나라의 사신, 국왕인을 가져감.
• 충혜왕, 역련진반(亦憐眞班, 德寧公主)과 혼인.
• 공민왕(恭愍王) / 1330~1374 / 이재(怡齋)
• 박의룡(朴義龍) / 1330~1430 / 풍정(楓亭)
• 원천석(元天錫) / 1330~ / 자정(子正),운곡(耘谷)
• 이성중(李誠中) / 1330~1411
• 이원계(李元桂) / 1330~
1332
고려 충혜왕 2
• 開城府에서 李光時의 准戶口를 발급함.
• 김지경(金之鏡) 옥사(?~).
• 상왕(충숙왕) 복위. 충혜왕, 원나라로 감.
• 박익(朴翊) / 1332~1398 / 태시(太始),송은(松隱)
• 이서(李舒) / 1332~1410 / 양백(陽伯),당옹(戇翁)
• 박상충(朴尙衷) / 1332~1375 / 성부(誠夫)
• 조운흘(趙云?) / 1332~1404
1333
고려 충숙왕 복 2
• 李謙의 처 樂浪郡夫人 崔氏의 戶口가 작성됨.
• 고려 開城府에서 戶口를 작성함.
• 충숙왕, 경화공주(慶華公主)와 함께 돌아옴. 심왕(瀋王) 왕고(王暠), 왕을 따라옴.
• 이강(李岡) / 1333~1368
• 정추(鄭樞) / 1333~1382 / 공권(公權),원재(圓齋)
• 한수(韓脩) / 1333~1384 / 맹운(孟雲),유항(柳巷)
• 우현보(禹玄寶) / 1333~1400 / 원공(原功)
• 유계조(柳繼祖) / 1333~1374
1335
고려 충숙왕 복 4
• 開城府에서 金克孫의 戶口를 작성함.
• 유구(柳?) / 1335~1398
• 태조(太祖) / 1335~1408 / 중결(仲潔),송헌(松軒)
• 김약시(金若時) / 1335~1406
1341
고려 충혜왕 복 2
• 을해(乙亥) 10월 12일에 이성계(李成桂)가 사저에서 태어남
• 태고사(太古寺) 창건.
• 원나라, 왕제(王弟) 강릉대군(江陵大君, 공민왕)을 입조(入朝)케 함.
• 유원(柳源) / 1341~1392
• 이고(李皐) / 1341~1420 / 망천(忘川)
• 조반(趙?) / 1341~1401
• 김사형(金士衡) / 1341~1407 / 평보(平甫),낙포(洛圃)
• 설장수(?長壽) / 1341~1399 / 천민(天民),운재(芸齋)
1344
고려 충혜왕 복 5
• 금마군(金馬郡) 익주(益州) 승격
• 권세가들이 차지한 경기의 녹과전(祿科田)을 원소유자에게 돌려줄 것을 결정.
• 보흥고(寶興庫)·내승(內乘)·응방(鷹坊)을 없앰.
• 충목왕, 원나라에서 즉위.
• 원나라, 충목왕을 고려국왕에 봉함.
• 정방 폐지. 관리임명은 전리사(典理司)와 군부사(軍簿司)에서 장악.
• 안성(安省) / 1344~1421 / 습지(習之),설천(雪泉)
• 최청(崔淸) / 1344~1414 / 직재(直哉),송음거사(松蔭居士)
• 이희충(李希忠) / 1344~1397
1354
고려 공민왕 3
• 立案의 발급을 요청한 尹丹鶴의 所志를 眈津縣에서 접수함.
• 眈津監務官이 尹丹鶴의 所志에 의거하여 立案을 내려줌.
• 尹丹鶴이 아버지 尹光琠으로부터 別給받은 婢 1口에 대한 立案을 내려달라고 眈津縣에 所志를 올림.
• 尹光琠이 아들 尹丹鶴에게 婢 1口를 別給할 때 증인과 필집으로 참여한 尹東眞과 金乘嗣가 함께 사실을 조사하여 立案을 내려달라고 眈津縣에 所志를 올림.
• 尹光琠이 아들 尹丹鶴에게 婢 1口를 別給함.
• 《졸고천백 拙藁千百》 간행.
• 한종유(韓宗愈) 죽음(1287~).
• 이색(李穡), 원나라 전시(殿試)에 등제.
• 오스만터키군, 가리포리를 탈취.
• 정원 외의 첨설직을 둠.
• 독일 찰스4세, 이탈리아 원정.
• 독일 승(僧) 벨트루드 슈발츠, 화약을 발명.
• 김첨(金瞻) / 1354~1418 / 자구(子具),연계(蓮溪)
• 남은(南誾) / 1354~1398
• 노필(盧弼) / 1354~1427
• 김승주(金承?) / 1354~1424
• 진안대군(鎭安大君) / 1354~1393
   1  2  3  4  5  6  7  8  9  10   
- 한국사 주요 사건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연표에 기술된 내용
- 한국사 주요 인물은 한국역대인물종합시스템에서 서비스하는 인물 중 해당 연도에 출생한 인물